동기화(synchronization)의 이해 - 1 ( 용어 이해 )

시스템 이야기 2013. 1. 16. 14:24

- 동기화란 무엇인가?

 

먼저 검색을 해보죠.

네이버 국어사전에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이 나옵니다.

( 지식백과 설명은 @.@ )

 

 

<컴퓨터>  1) 작업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

               2)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어나도록

                   시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이른다.

 

 

위의 동기화란 단어는 컴퓨터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1) 와 (2) 둘다 같은 뜻을 내포하는데요. 그냥 (1)은 한마디로 정의 한것이고,

(2)는 좀 더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먼저 예를 들어보면, 스마트폰 주소록을 이용하다 보면 구글과 '주소록 동기화' 기능이 있습니다. 심지어 구글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폴더 동기화' 기능이 있습니다. 다른 범위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기법 중에 '쓰레드 동기화' 라는 녀석도 있죠. 또, '네트워크 동기화' 라는 용어도 사용됩니다.

 

누구라도 주소록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동기화를 보면 '이런 저런 것들을 일치하게 만들어주는 개념이구나' 라고 생각합니다.

 

[ 동기화 용어의 사용 예시 ]

 

이렇듯 처음 말했듯이 동기화는 무언가를 '맞춘다', '일치시킨다'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보면 동기화가 무언가를 똑같이 만들어주는 개념이라고만 생각 할 수도 있겠네요.

 

그럼 시계를 예를들어보죠. 시분초들 역시 질서가 맞아야 시계 구실을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시계의 시. 분. 초 바늘은 각자 따로놀잖아요. 여기서 시계는 각각의 바늘( = 작업 ) 사이에서 일정한 질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둘 '쓰레드 동기화' 역시 '일치시킨다'의 의미보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 이해되는데 즉, 순서에 있어서 질서가 지켜지고 있음을 의미 합니다. 결국 사전적 의미처럼 (1)작업들 사이에 수행 시기를 맞춘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하게 되죠.

 

다음은 주소록 동기화되는 과정 입니다.

 

1. 스마트폰 주소록 수동 입력( 홍길동. 010-444-5555 )

2. 스마트폰 내의 구글 주소록과 동기화 버튼을 누른다. // 이벤트 발생

3.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주소록 정보를 서버에 저장 // 동기화

4. 구글 로그인하여 주소록 클릭

5. 스마트폰 주소록과 일치한 주소록 확인 // 사용자 인지

 

이처럼 일치시키는 행위도 엄밀히말하면 순서가 존재하며 그 질서를 잘 지켜지고 있어야만 우리는 동기화가 이루어졌다고 말합니다. 사용자는 그 일련의 과정이 피부로 느껴지지 않아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

 

 

 

 

: